https://www.acmicpc.net/problem/16955 16955번: 오목, 이길 수 있을까? 구사과와 큐브러버는 10×10 크기의 바둑판에서 오목을 하고 있다. 턴은 구사과가 먼저 갖는다. 바둑판의 상태가 주어진다. 구사과가 턴을 한 번 더 가졌을 때, 이길 수 있는지 구하는 프로그램을 www.acmicpc.net 문제분석 누구나 쉽게 알 수 있는 오목게임이다. 구사과와 큐브러버는 10x10크기의 바둑판에서 오목을 하고 있다. 턴은 구사과가 먼저 갖는데, 바둑판의 상태가 입력으로 주어지고 구사과가 턴을 한 번 더 가졌을 때, 즉, 한 수를 두었을 때 이길 수 있는지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해아한다. 오목의 승리 룰은 가로,세로 대각선 방향 중 하나에서 자신의 돌이 5개 이상 연속하는 것이다...
https://www.acmicpc.net/problem/2493 2493번: 탑 첫째 줄에 탑의 수를 나타내는 정수 N이 주어진다. N은 1 이상 500,000 이하이다. 둘째 줄에는 N개의 탑들의 높이가 직선상에 놓인 순서대로 하나의 빈칸을 사이에 두고 주어진다. 탑들의 높이는 1 www.acmicpc.net 문제분석 맨 오른쪽부터 왼쪽으로 일정 높이를 가진 탑에서 신호를 송신하면 신호를 보낸 탑보다 높이가 높은 탑만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높이가 6, 9, 5, 7, 4인 다섯 개의 탑이 수평 직선에 일렬로 서있다고 하자. 그러면, 높이가 4인 다섯번째 탑에서 발사한 레이저 신호는 높이가 7인 네 번째 탑이 수신을 하고, 높이가 7인 네 번째 탑의 신호는 높이가 5인 탑을 지나쳐 높이가..
https://www.acmicpc.net/problem/14593 14593번: 2017 아주대학교 프로그래밍 경시대회 (Large) 아주대학교 프로그래밍 경시대회(Ajou Programming Contest, APC)는 2009년 제1회를 시작으로 2014년 제6회까지 개최된 아주대학교 학생들을 위한 프로그래밍 경시대회이다. 2017년, 다른 학교에서 활발히 www.acmicpc.net 문제 분석 문제의 설명중 대부분은 실제 경시대회 규칙인듯하여, 중요한 부분만 뽑아 분석하자. ! 해결한 문제 점수의 총합이 높은 참가자가 더 높은 순위를 가진다. ! 점수의 총합이 같은 경우, 제출 횟수가 적은 참가자가 더 높은 순위를 가진다. ! 점수의 총합과 제출 횟수가 같은 경우, 마지막으로 점수를 획득한 문제의..
https://www.acmicpc.net/problem/1316 1316번: 그룹 단어 체커 그룹 단어란 단어에 존재하는 모든 문자에 대해서, 각 문자가 연속해서 나타나는 경우만을 말한다. 예를 들면, ccazzzzbb는 c, a, z, b가 모두 연속해서 나타나고, kin도 k, i, n이 연속해서 나타나기 때 www.acmicpc.net 그룹 단어란 단어에 존재하는 모든 문자에 대해서, 각 문자가 연속해서 나타나는 경우만을 말한다. 예를 들면, ccazzzzbb는 c, a, z, b가 모두 연속해서 나타나고, kin도 k, i, n이 연속해서 나타나기 때문에 그룹 단어이지만, aabbbccb는 b가 떨어져서 나타나기 때문에 그룹 단어가 아니다. 단어 N개를 입력으로 받아 그룹 단어의 개수를 출력하는..
https://www.acmicpc.net/problem/1371 1371번: 가장 많은 글자 첫째 줄부터 글의 문장이 주어진다. 글은 최대 50개의 줄로 이루어져 있고, 각 줄은 최대 50개의 글자로 이루어져 있다. 각 줄에는 공백과 알파벳 소문자만 있다. 문장에 알파벳은 적어도 하나 이 www.acmicpc.net 문제 분석 영어권에서는 어떤 글자가 다른 글자보다 많이 쓰인다. 예를 들어, 긴 글에서 약 12.31%를 차지하는 글자는 e이다. 어떤 글이 주어졌을 때, 가장 많이 나온 글자를 출력하라. 입력으로는 첫째 줄부터 글의 문장이 주어진다. 글은 최대 50개의 줄로 이루어져 있고, 각 줄은 최대 50개의 글자로 이루어져 있다. 각 줄에는 공백과 알파벳 소문자만 있다. 문장에 알파벳은 적어도 하나..